본문 바로가기
악기에 대하여

관악기-관악기의 분류(금관 악기, 목관악기)

by 안젤라 9711 2023. 10. 27.

관악기란 관 내부에 공기를 불어 넣어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관악기는 여러가지 구분법이 있으나 소리를 내는 방식에 따라 목관 악기와 금관 악기로 구분한다. 입으로 불어 넣는 호흡능력으로 소리와 음을 표현한다.

쉽게 구분 하기는 피리류는 목관 악기, 나팔류는 목관악기이다.

관악기의 분류

1.목관악기

목관악기는 악기 내부로 직접 숨을 불어 넣고 리드를 통해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리드는 주로 플라스틱이나 뼈로 만들어 진다. 재질과는 관계없이 금, 은, 플라티튬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다 .플룻과 피콜로는 현대는 대부문 금속으로 제작하지만 초기에는 나무로 제작되기도 했다.소리를 내는 원리가 목관악기군과 같기 때문에 목관악기군으로 분류된다.형태는 대부분 원기둥 혹은 원뿔 모양을 가지고 있다. 목관 악기로는 플룻,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피콜로, 잉글리쉬 호른, 섹스폰 이 있다. 섹스폰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악기이지만 리드를 사용하고 계이름마다 정확한 운지법이 있기 때문에 구조상 목관악기로 분류된다. 플룻은 가장 오래된 목관 악기이며 유일하게 리드가 없다는 특징이 있다.  목관 악기중에서도 리드가 하나인 악기와 리드가 둘인 악기가 있다. 클라리넷 계열 과 색소폰 계열은 싱글리드 악기이고, 오보에계열 악기는 더블리드 악기이다.

2.금관악기

금관악기는 17세기에 처음 등장 했다. 관이 주로 황동으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그러나 금속으로 만들어 진것만 금관 악기라고 하지는 않는다. 발성 원리가 다르면 목관 악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섹스폰이나 플룻이 그러하다. 금관악기는 복식 호흡과 마우스피스를 통해 소리를 낸다. 마우스피스를 통해 배음 체계를 내는 매커니즘이 있는 악기중 금속으로 만든 악기를 금관 악기라고 한다.입술의 떨림을 통해서 연주하는 구조로 그릇 모양의 추관으로 되어 있어, 이를 통해 공기를 불어 넣어 소리를 낸다. 소리가 출력되는 부분은 나팔꽃모양으로 생겨서 비교적 구분하기 쉽다.

소리는 웅장하고 호려한 음색을 낸다. 리드의 유무에 따라 무황 악기와 유황악기로 분류하기도 한다. 관악기 위주로 연주되는 음악을 취주악이라고 한다.국악에서는 해금과 아쟁은 현을 활로 그어서 소리를 내는 현악기 이지만 전통

분류법상 관악기로 분류된다.취타계 음악등 관악 합주에 쓰인다. 정악은 관악과 현악을 음의 지속 시간으로 구분하기 때문에 찰현악기류는 관악기에 ,발현악기는 현악기에 속한다.

금관악기로는 트럼펫, 호른, 트롬ㄹ본, 튜바, 바그너 튜바, 수자폰,코넷,플루겔호른 등이 있다.

 

 

 

댓글